<--본문광고-->
노원 문화예술회관 뉴욕의 거장들 전시회 -미국 현대미술의 선구자 잭슨 폴락의 추상 표현주의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원 문화예술회관 뉴욕의 거장들 전시회 -미국 현대미술의 선구자 잭슨 폴락의 추상 표현주의

반응형

노원 문화예술 회관에서 열리고 있는 NEW YORK의 거장들 전시회가 있습니다.

미술은 잘 모릅니다만 현대 미술의 거장이 노원구에서 전시된다고 하니 궁금해서 다녀왔는데요. 역시나 미술은 저에게 참 어렵습니다.

그래서 도슨트의 도움을 받기로 하고 들어보니 실제 화가들의 열정과 노력 그리고 철학까지 담겨진 그림의 진가를 조금은 알겠더군요.

반응형

#노원 문화 예술회관 바로가기

구분 관람료 구민 할인 20% 유공자/장애인 30% 다자녀 20%
성인 15,000원
단체 13,000원
12,000원 10,500원 12,000원
청소년/어린이 12,000원
단체 10,000원
9,600원
단체 8,000원
8,400원 9,600원

 

※ 단체할인 20명 이상/ 중복 할인 불가/ 2021년 1.1이후 출생자 무료

※ 문의 : 노원구청 문화도시과 ( 02- 2116-7135 )

 

잭슨 폴록(Jackson Pollock, 1912년 1월 28일 ~ 1956년 8월 11일)은 20세기 미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화가 중 한 명으로,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의 선구자로 평가받습니다. 그는 전통적인 화풍에서 벗어나 드리핑(dripping) 기법이라는 독창적인 기법을 창조해 미술계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미국을 세계 미술의 중심으로 이끄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지금까지 시선을 앞에 두고 그리는 화풍이 잭슨 폴락부터 수평적 화풍이 시작 되었다고 하네요.

 

반응형

🎨 예술적 특징

  1. 드리핑 기법 (Drip Painting):
    캔버스를 바닥에 놓고 페인트를 뿌리거나 흘리는 방식으로 그림을 그림. 붓 대신 나무 막대기, 숟가락, 깡통 등을 사용.
  2. 행위예술의 전조:
    그의 작업 방식은 단순한 회화를 넘어서 하나의 퍼포먼스로 여겨졌고, **"액션 페인팅(Action Painting)"**이라는 용어로 불리게 됨.
  3. 자기 표현의 극대화:
    그림을 통해 무의식과 감정을 드러내는 방식. 규칙이나 구상 없이 감각과 본능에 따른 자유로운 표현.

잭슨 폴락의 작품들

 

 

 

대형 캠퍼스를 바닥에 펼쳐놓고 송진으로 희석한 페인트를 사용해 굳어버린 붓,팔레트와 나이프, 나뭇가지를 사용해 페인트를 뿌리고 흘리며 캔버스 전체를 덮는 기법입니다.

작품은 몸의 움직이 담긴 붓질로 가득 차 있었고 작품을 접한 사람은 폴록에게서 직접 흘러나오는 불안정하고 역동적인 에너지가 담겨 있다고 하였습니다. 직관적이지만 복잡한 추상 표현주의의 선구자로  자리 매김하게 됩니다.

반응형

🧠 영향과 평가

  • 미국 미술이 유럽 중심에서 벗어나 세계적인 위상을 갖도록 한 인물.
  • 현대미술의 ‘과정’과 ‘행위’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제시.
  • 평론가 클레멘트 그린버그(Clement Greenberg)나 페기 구겐하임(Peggy Guggenheim) 등의 후원으로 세계적 명성을 얻음.

잭슨 폴락의 등장으로 세계 2차 대전이 한창이던 유럽의 화풍세력이 미국으로 바뀌는 상황이 됩니다. 전쟁에 힘들었던 사람들의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고 정해진 틀없이 그려내는 그의 작품에 열광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예술가들이 그렇듯 잭슨 폴락도 내적 갈등과 알콜 중독으로 방황하다가 1956년 음주 교통사고로 사망하게 됩니다.

반응형

 

 

유네스코가 인정한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1990년대부터 2020년까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문화유산을 소개합니다. 선사시대 고인돌부터 조선의 서원까지 시대를 넘나드는 유산의 이야기를 만나보세요. 유네스코가 인

tallbank123.tistory.com

 

 

한국의 여름은 왜 점점 더워지고 습해지는 것일까? 올해 여름더위 예측

최근 한국의 여름은 갈수록 덥고 습해지고 있습니다. 예전보다 길어진 폭염과 열대야, 높은 습도로 더워도 너무 덥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왜 한국의 여름은 이렇게 변하고 있을까요? 올해

tallbank123.tistory.com

 

반응형